공공기관 관련

공공기관 성과급과 내부평가급, 도대체 뭐가 다른가요?|2025년 공기업·준정부기관 기준 총정리

huihu1 2025. 6. 20. 11:37
728x90
반응형

 

1️⃣ 성과급이란? (경영평가 성과급)

성과급은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지급되는 인센티브입니다.
매년 발표되는 A~E 등급에 따라 기관장, 감사, 직원 모두에게 차등 지급됩니다.

● 지급 기준은?

  • C등급(보통) 이상인 기관부터 지급 대상
  • S등급이 가장 많이 받고, D·E등급은 성과급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● 누가 받나요?

  • 기관장, 상임이사·상임감사, 일반 직원 모두 해당
    단, 전년도 근무기간이 3개월 미만이면 제외 가능

●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
구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·E등급
기관장(공기업) 최대 100% 차등 지급 차등 지급 일부 지급 지급 제외
직원(공기업) 최대 250% 차등 지급 차등 지급 일부 지급 지급 제외
직원(준정부기관) 최대 100% 차등 지급 차등 지급 일부 지급 지급 제외
 

※ 기준: 기본급 대비 %, 세부 수치는 기관 자체 기준에 따라 결정됨
※ 舊 정부투자기관(1983~2006년)은 최대 300%까지 가능250620 (보도자료) 2024년도 경영…


2️⃣ 내부평가급이란?

내부평가급은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내부 성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
직원 개인에게 차등 지급되는 성과급입니다.
즉, 내부에서 "직원 A가 더 잘했다"고 판단하면, A가 더 많이 받게 되는 개인 성과 중심 성과급입니다.

● 누가 평가하나요?

  • 각 기관의 평가위원회나 부서장, 또는 평가 시스템
  • 사무직, 기술직, 관리직 등 직무별로 기준이 다를 수 있음

● 무엇을 기준으로 하나요?

  • 실적, 근태, 업무성과, 프로젝트 기여도 등
  • 정량+정성평가 병행, 성과평가 항목은 기관마다 상이함

●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예산지침 상 총인건비 내 범위에서 자율 결정
  • 보통 3등급 또는 5등급 차등제, 최고점자와 최저점자의 차이가 큼

3️⃣ 성과급 vs 내부평가급 차이점 요약

항목 성과급(경영평가) 내부평가급(자체평가)
평가 주체 기획재정부 기관 내부
지급 기준 기관 경영평가 등급 기준 개인 실적 및 내부 기준
지급 대상 기관 전체(기관장~직원) 주로 직원 (일부 임원 포함)
지급 재원 정부가 배정하는 총인건비 내에서 총인건비 내에서 자율편성
등급 기준 S~E 등급 (C등급 이상 지급 가능) 내부 등급 (3~5등급 다양)
 

4️⃣ 그럼, 누가 얼만큼 받는지 어떻게 결정돼요?

실제로는 다음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합니다.

  • 경영평가 등급 (기관 전체 기준)
  • 내부 성과평가 결과 (직원 개인 기준)
  • 당기순손실 여부 (손실 시 자율반납 권고)
  • 근무 기간 (3개월 미만이면 미지급 가능)
  • 기관장의 판단 및 이사회 결정

5️⃣ 2024년 실제 지급 예시

  • A등급 한국전력공사 직원: 성과급 최대 250% 지급 가능
  • C등급 한국도로공사 직원: 성과급 일부만 지급
  • E등급 한국광해광업공단: 성과급 지급 대상 제외
  • 적자 공기업 (예: 한국공항공사): 임원 성과급 25% 자율 반납 권고250620 (보도자료) 2024년도 경영…

6️⃣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평가등급이 B인데, 성과급 왜 조금밖에 안 나왔나요?

→ 내부평가급이 낮거나 근무기간이 짧았을 가능성 있음

Q. 퇴직했는데 성과급 받을 수 있나요?

→ 평가 대상 연도 기준 근무기간 3개월 이상이면 퇴직자도 받을 수 있음

Q. 내부평가급은 몇 등급까지 나눠요?

→ 기관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등급(A, B, C) 또는 5등급(A~E)

728x90
반응형